티스토리 뷰
우리나라 전통놀이가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윷놀이 (음력 1월1일)
정월 초하루에서 보름까지 윷이라는 놀이도구를 사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어울려 즐기면서 노는 놀이. 사희(柶戱) 또는 척사희(擲柶戱)라고도 한다.
제기차기 (음력 12월)
제기를 가지고 발로 차는 놀이. 제기는 엽전이나 쇠붙이에 얇고 질긴 종이나 천을 접어서 싼 다음, 끝을 여러 갈래로 찢어 너풀거리게 한 놀이기구이다. 주로 겨울에서 정초에 걸쳐 노는 어린이 놀이이다.
거북놀이 (음력 8월 15일)
음력 8월 15일 한가윗날에 수숫잎으로 거북 모양을 만들어 쓰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노는 민속놀이.
비석치기 (음력 9월)
일정한 거리에서 손바닥만한 작은 돌을 발로 차거나 던져서 상대의 비석을 쓰러뜨리는 놀이. 비석치기는 주로 봄과 가을에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널리 행하는 놀이이다. 지역에 따라서 비사치기, 비석차기, 비석까기, 목자까기, 자까기, 비새치기, 비사색기, 자새치기, 마네치기, 망깨까기, 돌차기, 돌맞추기, 말차기, 강치기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강강술래 (음력 8월 15일)
음력 8월 한가윗날 밤에 호남 지역에서 널리 놀았던 여성 집단놀이. 현재는 전국적으로 이 놀이가 확산되어 굳이 호남 지역의 민속놀이라기보다는 전국화된 놀이라고 할 수 있다. 강강술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성놀이로서 가장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율동미가 넘치는 민속놀이요 민속춤이요 또한 민요이다. 가무악(歌舞樂)이 일체화된 강강술래는 주로 추석날 밤에 행해지며, 지방에 따라서는 정월대보름 밤에 하기도 한다. 1966년 2월 15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
씨름 (음력 5월)
두 사람이 맞잡고 힘과 기술을 부리어 상대를 먼저 땅에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결정하는 경기. 경기 방식에 따라 선씨름, 띠씨름, 바씨름, 왼씨름, 오른씨름이 있다. 선씨름은 서서 하는 씨름이며, 띠씨름은 허리에 두른 띠를 두 손으로 잡고 하는 씨름이고, 바씨름은 오른팔과 다리에 샅바를 감고 겨루는 씨름이다. 왼씨름은 샅바를 오른쪽 넓적다리에 매고 상대방이 이를 왼손으로 잡고 겨루는 씨름이고, 오른씨름은 왼다리에 맨 샅바를 상대가 오른손으로 잡고 겨루는 씨름이다. 씨름의 주체에 따라 구분하면 애기씨름, 중씨름, 상씨름이 있는데, 애기씨름은 어린이들의 씨름이고, 중씨름은 젊은이들의 씨름이며, 상씨름은 어른들의 씨름이다. 씨름은 주로 남자들끼리 벌이는 경기지만, 여자들끼리 벌이는 경우도 있다.
쥐불놀이 (음력 1월 15일)
들판에 쥐불을 놓으며 노는 풍속. 횃불을 들고 들판에 나가 논밭두렁의 잡초와 잔디를 태워 해충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으며, ‘서화희(鼠火戱)’ 또는 ‘훈서화(燻鼠火)’라고도 한다.
줄다리기 (음력 1월 15일)
정월 대보름에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루던 대동놀이. 줄다리기는 지역에 따라 줄당기기·줄땡기기·줄싸움·줄쌈·게줄쌈·귀줄싸움·동줄다리기와 같은 여러 이름이 존재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제주도의 줄다리기를 조리희(照理戱)라 하였고,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도삭(綯索)·갈전(葛戰)·조리지희(照理之戱)와 같이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달리 기록되었다. 특이한 것은 조선 영조 때의 울산 읍지인 『학성지(鶴城誌)』에는 마두희(馬頭戱)라 하여 중국 당나라의 발하희(拔河戱)를 본뜬 것이라 밝히고 있다. 요약하면 줄다리기가 전국적 용어라는 설도 있으나 서울·경기 지역의 언어가 표준어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경기 지역 방언이었던 줄다리기가 현재의 보통명사로 고착된 것으로 보인다.
널뛰기 (음력 1월 1일)
정초에 여자들이 둘로 나뉘어, 긴 널빤지의 중간에 둥근 짚단을 받치고, 양쪽에서 서로 균형을 잡아가며 발로 굴러서 서로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을 반복하는 놀이. 답판(踏板)·도판(跳板)·초판희(超板戱)·판무(板舞)라고도 한다. 승부는 어느 한쪽이 균형을 잃어 널에서 떨어질 때에 정해진다. 주로 정초에 놀지만, 경우에 따라 정월 대보름, 첫 용날(상진일, 충북 보은군 외속리면), 정월 16일 귀신날(경기도 지역)과 같이 특정한 날로 국한되기도 한다.
연날리기 (음력 1월 15일)
주로 겨울철에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하늘에 띄우는 민속놀이. 종이에 가는 대나무가지를 붙여 연을 만들고, 얼레에 감은 실을 연결한 다음 날리며 논다
팽이치기 (음력 12월)
겨울철에 눈이나 얼음판 위에서 아이들이 팽이를 돌리며 노는 놀이. 조선 숙종 때 편찬된 『역어유해(譯語類解)』나 정조 때 편찬된 한어·만주어 사전인 『한청문감(漢淸文鑑)』에는 팽이를 ‘핑이’로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핑이는 어떤 물체가 빙빙 돈다 또는 핑핑 돈다는 뜻에서 파생된 말로 볼 수 있다. 이로 미루어 17세기 말까지는 팽이를 핑이로 부르다가 그 이후에 팽이라고 부른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팽이를 평안도에서는 세리, 세루, 함경도에서는 봉애, 방애, 경상도에서는 뺑이, 핑딩, 전라도에서는 뺑돌이, 제주도에서는 도래기로 부르기도 한다. 이처럼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있지만, 오늘날은 일반적으로 팽이라는 말이 통용하고 있다
수건돌리기 (음력 8월 15일)
사람들이 원의 형태로 둥글게 안쪽을 보고 앉은 상태에서 술래가 수건을 사람들의 등 뒤로 돌리는 놀이. 주로 소녀들이나 어린이들이 하는데 수건찾기라고도 한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터의 마력 및 회전수 계산법 (4) | 2017.09.26 |
---|---|
구글번역기 출력된 문서 번역 (google 번역) (0) | 2017.09.20 |
갤럭시노트8 , 애플 아이폰X , LG V30 사양비교 (0) | 2017.09.16 |
노니 효능과 부작용 (0) | 2017.09.15 |
아웃룩 2007 언어 설정 (Outlook 2007) (20) | 2017.09.13 |
- 리니지m
- 살충제 계란
- 게하르트 슐츠
- 특수차 개조
- 화물차 개조
- 리니지M 장비
- 조르다인 듀카스
- 아혼 키루스
- Shadow arena
- 삼국지M
- 헤라웬
- 설이#페르시안고양이#초딩냥이#아깽이#페르시안믹스#스노우고양이#snowcat#snow#cat
- 소울 합성
- 대구 코로나
- AMG E 63 4MATIC
- 고옌
- 플레이스테이션
- 국내 발생 현황
- 황금의 바달
- 리니지M 스텟
- DS3 Crossback 1.5 Blue HDi
- A6 40 TDI
- 오로엔
- 배틀그라운드 해킹
- 소울 육성
- 소울 승급
- 섀도우 아레나
- 승용차 튜닝
- 소울 조합
- 계정 해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